코스모피디아:문서 관리 방침 (r22)
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:
알림
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[주의!] 문서의 이전 버전(에 수정)을 보고 있습니다. 최신 버전으로 이동
분류
1. 문서에 대해[편집]
코스모피디아의 문서란, 코스모피디아 하위의 모든 페이지를 말하며 별도의 수식 없는 한 방침 전체에서 '문서'는 코스모피디아의 문서를 말합니다.
1.1. 문서의 종류[편집]
문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
1.1.1. 문서의 분류[편집]
코스모피디아의 문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.
- 특수 문서 : 파일 문서, 분류 문서, 틀 문서, 템플릿 문서의 통칭입니다.
- 파일 문서 : file:로 시작하는 문서입니다. 파일 업로드 기능을 통해 업로드된 모든 파일이 해당합니다.
- 분류 문서 : category:로 시작하는 문서입니다. 문서 최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모든 분류가 해당합니다.
- 틀 문서 : 틀:로 시작하는 문서입니다. 모든 틀이 해당합니다.
- 템플릿 문서 : 템플릿:으로 시작하는 문서입니다. 모든 템플릿이 해당합니다.
- 리다이렉트 문서 : 리다이렉트 문법을 이용한 문서입니다.
- 공식 문서 : 코스모피디아의 공식 문서입니다.
- 일반 문서 : 위에 해당하지 않는 모든 문서는 일반 문서에 해당합니다.
2. 문서의 등재 기준[편집]
2.1. 커스텀 레벨[편집]
개별 커스텀 레벨은 다음 기준을 충족하면 그 레벨에 사용한 곡 문서의 하위 문단에 서술할 수 있습니다.
- 유튜브에 업로드된 레벨 쇼케이스 영상의 조회수가 500회 이상인 경우
- 만약 업로드된 쇼케이스 영상이 없다면, 유튜브에 업로드된 가장 조회수가 많은 레벨 플레이 영상의 조회수가 1천회 이상인 경우
- Steam 창작마당의 레벨 구독자 수가 500명 이상인 경우
- 공식 레벨의 원본 레벨일 경우
위 기준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서술 가능합니다.
또한 개별 커스텀 레벨은 다음 기준을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분리하여 서술할 수 있습니다.
또한 개별 커스텀 레벨은 다음 기준을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분리하여 서술할 수 있습니다.
- 유튜브에 업로드된 레벨 쇼케이스 영상의 조회수가 3천회 이상인 경우
- 만약 업로드된 쇼케이스 영상이 없다면, 유튜브에 업로드된 가장 조회수가 많은 레벨 플레이 영상의 조회수가 1만회 이상인 경우
- Steam 창작마당의 레벨 구독자 수가 5천명 이상인 경우
또한 다음과 같은 경우는 특수한 위치에 서술해야 합니다.
- 추천 레벨에 등재된 경우
- 추천 레벨 문서에 서술해야 하며, 단일 문서 분리 조건을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분리하여 서술할 수 있습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레벨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문서가 존재하는 레벨 제작자, 레벨 제작팀의 문서에 간략하게 작성
2.2. 레벨 팩[편집]
레벨 팩을 단일 문서로 등재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유튜브에 업로드된 레벨 팩 쇼케이스 영상의 조회수가 1천회 이상인 경우
- Steam 창작마당에 업로드된 레벨 팩에 포함된 레벨의 과반수 이상의 구독자 수가 각각 5천회 이상인 경우
위 기준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등재 가능합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레벨 팩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레벨 팩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문서가 존재하는 레벨 제작자, 레벨 제작팀의 문서에 간략하게 작성
2.3. 레벨 제작자[편집]
레벨 제작자를 단일 문서로 등재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가 1천명 이상인 경우
- 유튜브에 업로드된 가장 조회수가 높은 레벨 쇼케이스 영상 5개의 합이 3만회 이상인 경우
- 만약 유튜브 채널이 없다면, 유튜브에 업로드된 가장 조회수가 많은 레벨 제작자의 단독 레벨 플레이 영상의 조회수가 10만회 이상인 경우
- 문서가 존재하는 레벨 제작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한 경우
- 2개 이상의 추천 레벨에 참여한 경우
- 공식 레벨에 참여한 경우
위 기준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등재 가능합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인물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인물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문서가 존재하는 본인의 레벨 문서에 이름만 서술
- 문서가 존재하는 레벨 제작팀 문서에 이름만 서술
2.4. 레벨 제작팀[편집]
레벨 제작팀을 단일 문서로 등재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유튜브에 업로드된 팀의 레벨 쇼케이스 영상의 조회수 총합이 5만회 이상인 경우
- 팀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가 500명 이상이고, 팀 레벨이 3개 이상인 경우
- 팀의 이름으로 추천 레벨에 등재된 경우
위 기준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등재 가능합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팀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팀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문서가 존재하는 팀의 레벨 문서에 이름만 서술
2.5. 플레이어[편집]
플레이어를 단일 문서로 등재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명확히 불과 얼음의 춤을 주제로 하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채널의 구독자 수가 1천명 이상인 경우
- 문서가 있는 플레이 대회에서 준결승 이상 진출한 경우
- 유튜브에 업로드된 가장 조회수가 높은 플레이 영상 5개가 각각 10만회 이상인 경우
위 기준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등재 가능합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인물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인물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문서가 존재하는 대회 문서에 간략하게 서술
2.6. 작곡가[편집]
플레이어를 단일 문서로 등재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작곡가의 곡이 사용된 문서가 존재하는 커스텀 레벨의 수가 10개 이상인 경우
- 공식 레벨에 참여한 경우
- 추천 레벨에 참여한 경우
위 기준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등재 가능합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인물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위 기준 중 어느 하나도 충족하지 못하면, 다음의 방식으로 해당 인물에 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문서가 존재하는 본인의 곡이 사용된 레벨 문서에 이름만 서술
2.7. 모드[편집]
모드의 경우, 존재하는 모든 모드는 이 문서에 간략하게 서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.
- 다만, 서술하는 양이 길어지면 별도 문서로 분리합니다.
2.8. 관련 웹사이트[편집]
관련 웹사이트의 경우, 존재하는 모든 웹사이트는 모두 등재 대상입니다.
- 다만, 명확히 불과 얼음의 춤을 주제로 해야 합니다.
- 나무위키의 불과 얼음의 춤 문서처럼, 방대한 주제를 다루는 웹사이트의 하위 문서로서 불과 얼음의 춤을 주제로 하는 웹사이트는 등재할 수 없습니다.
- 해당 웹사이트가 특정 레벨, 레벨 제작자, 레벨 제작팀, 플레이어, 맵팩, 작곡가, 모드, 웹사이트, 대회, 포럼을 위해 만들어졌다면 해당 문서에 같이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.
위 기준을 모두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등재 가능합니다.
2.9. 관련 디스코드 서버[편집]
관련 디스코드 서버를 단일 문서로 등재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명확히 불과 얼음의 춤을 주제로 해야 합니다.
- 해당 디스코드 서버가 특정 레벨, 레벨 제작자, 레벨 제작팀, 플레이어, 맵팩, 작곡가, 모드, 웹사이트, 대회, 포럼을 위해 만들어졌다면 해당 문서에 같이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.
- 디스코드 서버의 봇을 제외한 인원이 500명 이상이어야 합니다.
위 기준을 모두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등재 가능합니다.
2.10. 대회[편집]
대회를 단일 문서로 등재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명확히 불과 얼음의 춤을 주제로 해야 합니다.
- 참가한 인원이 스태프를 제외하고 16명 이상이여야 합니다.
위 기준을 모두 충족하면 단일 문서로 등재 가능합니다.
2.11. 포럼[편집]
포럼의 경우, 존재하는 모든 포럼은 이 문서에 간략하게 서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.
- 다만, 서술하는 양이 길어지면 별도 문서로 분리합니다.
3. 문서 편집 방침[편집]
3.1. 공통 원칙[편집]
3.1.1. 권장사항[편집]
권장사항은 지키지 않아도 무방하지만, 코스모피디아의 문서 질을 위해 모쪼록 지켜주셨으면 하는 지침입니다.
- 문서는 가독성 있게 작성되어야 합니다.
- 문서는 중립적으로 작성되어야 합니다.
- 코스모피디아는 유머식 서술을 권장...하지는 않지만 적당히 재미있는 선에서만 해주시길 바랍니다! 뇌절은 금물입니다.
3.1.2. 문서 이동[편집]
문서 이동은 최소한만 필요에 의해서 사용되어야 합니다.
불필요하고 장난식의 문서 이동은 제제될 수 있습니다.
불필요하고 장난식의 문서 이동은 제제될 수 있습니다.
3.1.3. 문서 삭제[편집]
문서 삭제 최소한만 필요에 의해서 사용되어야 합니다.
불필요하고 장난식의 문서 삭제는 제제될 수 있습니다.
불필요하고 장난식의 문서 삭제는 제제될 수 있습니다.
3.2. 공식 문서[편집]
코스모피디아 공식 문서는 관리자만 편집할 수 있습니다.
일반 사용자도 편집 요청은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, 받아드릴지 여부는 관리자 내부적으로 결정합니다.
일반 사용자도 편집 요청은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, 받아드릴지 여부는 관리자 내부적으로 결정합니다.
3.3. 커스텀 레벨 문서[편집]
3.3.1. 분류[편집]
코스모피디아에서 커스텀 레벨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분류합니다.
* 단일 커스텀 레벨
* 레벨 팩에 포함된 레벨
*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
*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
* 추천 레벨
* 단일 커스텀 레벨
* 레벨 팩에 포함된 레벨
*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
*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
* 추천 레벨
3.3.2. 문서 작성 위치[편집]
어떤 레벨에 대한 문서를 작성할 때, 아래의 규칙에 맞는 위치에 작성해야 합니다.
1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레벨
* 레벨에 사용된 곡 문서의 하위 문단에 서술
2. 레벨 팩에 소속된 레벨
* 곡 문서의 하위 문단에 서술하며, 레벨 팩 소속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
* 소속된 레벨 팩이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해당 레벨 팩 문서 하위 문단에 서술 및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*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문서 최상단에 레벨 팩 소속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 및 레벨 팩 문서 하위 문단과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3.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
* 곡 문서의 하위 문단에 서술하며, 대회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
* 소속된 대회가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해당 대회 문서에 서술 및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*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문서 최상단에 대회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 및 대회 문서와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4. 플레이 대회의 오리지널 레벨
* 곡 문서의 하위 문단에 서술하며, 대회 오리지널 레벨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
* 소속된 대회가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해당 대회 오리지널 레벨 문서에 서술 및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*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문서 최상단에 대회 오리지널 레벨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 및 대회 오리지널 레벨 문서와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5. 추천 레벨
* 추천 레벨 문서에 서술
*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문서 최상단에 추천 레벨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 및 추천 레벨 문서와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각 기준이 겹치는 경우,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.
1. 레벨 팩 소속이며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일 경우
*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에디팅 대회 문서에 서술 및 레벨 팩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2. 레벨 팩 소속이며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일 경우
*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 문서에 서술 및 레벨 팩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3. 레벨 팩 소속이며 추천 레벨일 경우
* 추천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추천 레벨 문서에 서술 및 레벨 팩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4.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이며 추천 레벨일 경우
* 추천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추천 레벨 문서에 서술 및 에디팅 대회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5.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이며 추천 레벨일 경우
* 추천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추천 레벨 문서에 서술 및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1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레벨
* 레벨에 사용된 곡 문서의 하위 문단에 서술
2. 레벨 팩에 소속된 레벨
* 곡 문서의 하위 문단에 서술하며, 레벨 팩 소속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
* 소속된 레벨 팩이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해당 레벨 팩 문서 하위 문단에 서술 및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*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문서 최상단에 레벨 팩 소속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 및 레벨 팩 문서 하위 문단과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3.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
* 곡 문서의 하위 문단에 서술하며, 대회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
* 소속된 대회가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해당 대회 문서에 서술 및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*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문서 최상단에 대회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 및 대회 문서와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4. 플레이 대회의 오리지널 레벨
* 곡 문서의 하위 문단에 서술하며, 대회 오리지널 레벨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
* 소속된 대회가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해당 대회 오리지널 레벨 문서에 서술 및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*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문서 최상단에 대회 오리지널 레벨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 및 대회 오리지널 레벨 문서와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5. 추천 레벨
* 추천 레벨 문서에 서술
*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할 때, 문서 최상단에 추천 레벨이라는 것을 틀 또는 링크로 기재 및 추천 레벨 문서와 곡 문서 하위 문단에 링크로 기재
각 기준이 겹치는 경우,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.
1. 레벨 팩 소속이며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일 경우
*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에디팅 대회 문서에 서술 및 레벨 팩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2. 레벨 팩 소속이며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일 경우
*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 문서에 서술 및 레벨 팩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3. 레벨 팩 소속이며 추천 레벨일 경우
* 추천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추천 레벨 문서에 서술 및 레벨 팩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4. 에디팅 대회에서 제작된 레벨이며 추천 레벨일 경우
* 추천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추천 레벨 문서에 서술 및 에디팅 대회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5.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이며 추천 레벨일 경우
* 추천 레벨의 기준을 우선합니다. 단일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추천 레벨 문서에 서술 및 플레이 대회 오리지널 레벨 문서에 링크로 기재합니다.
3.3.3. 서술 규칙[편집]
어떤 커스텀 레벨에 대해 서술할 때 다음과 같이 작성해야 합니다.
- 어떤 곡과 그 곡의 리믹스는 다른 곡으로 취급하여 문서를 분리해야 합니다.
- 작곡가가 자신의 곡을 리믹스한 경우 문서를 분리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원곡 문서에 관련 서술을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.
- 레벨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는 긍정적인 부분만 서술 가능하며, 레벨에 대한 개인의 비판이나 피드백은 서술하지 않습니다.
- 레벨의 Special Thanks는 서술하지 않습니다.
- 레벨에 쓰인 곡이 저작권에 의해 사용 금지되어 더 이상 공유할 수 없는 레벨은 서술하지 않습니다.
- 싱크 등 여러 이유로 레벨 제작자가 (fix) 버전을 제작한 경우 이 레벨을 대표 영상으로 레벨 정보 표에 서술하며, 원본 레벨은 [ 펼치기 • 접기 ] 문법을 이용하여 서술합니다.
- 어떤 레벨의 리메이크 레벨은 원본 레벨과 제작자가 같은 경우 원본 레벨의 하위 문단에 서술합니다.
- 어떤 레벨의 EX, Simple 레벨은 완전히 다른 레벨로 취급합니다.
- 단, 처음부터 레벨 제작자가 난이도를 나누어 레벨을 여러 개 제작한 경우 같은 문서에 서술합니다.[1]
3.4. 레벨 팩 문서[편집]
레벨 팩은 개별 커스텀 레벨들의 묶음으로, 문서 편집 규정을 커스텀 레벨 문서와 공유합니다.
3.5. 인물 문서[편집]
레벨 제작자, 플레이어, 작곡가 등 어떤 인물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는 다음과 같이 작성해야 합니다.
- 인물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을 서술하지 않습니다.
- 단, 인물의 실력에 대한 칭찬성 서술은 일부 허용합니다. 정도가 과하면 경고 없이 수정될 수 있습니다.
- 게임과 관련 없는 서술을 너무 깊이 하지 않습니다.
- 예시) 인물 A는 학창시절 전교 회장을 지낸 적이 있다.
3.6. 모드[편집]
모드 문서에 대한 별도 규정은 없으나, 허위사실 작성 등 위키 운영에 부적절한 서술은 경고 없이 수정될 수 있습니다.
3.7. 관련 웹사이트[편집]
3.8. 관련 디스코드 서버[편집]
3.9. 대회[편집]
3.10. 포럼[편집]
[1] 예시) Ma6icCu8e의 Feral 시리즈
모든 문서는 CC BY-NC-SA 4.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.